[아이콘] 포토그래퍼 요네하라 야수마사(米原康正) ~체키를 든 젊은이 문화의 대변자~(2/3)
스스로 생각하는 것을 해나가지 않으면、지금의 일본은 위험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ab:현장주의라는 이미지가 강합니다만, 역시 그런 생각은 있습니까?
요네하라(米原):있습니다. 역시 저는 젊은이들을 좋아해, 기본적으로 제가 어른에게 이해되는 것이 굉장히 싫고, 이해주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인정해 주었으면 한다. 예를들어 굉장히 과격한 펑그밴드가 메이저와 계약하면 “청춘펑크(연애나 우정, 트라우마, 꿈과 정열 등 젊은이의 개인적 사건이나 감정을 주로 하는 테마로 하는 펑크)”로 변하거나 젊은이들이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성인이 자신들에게 맞게 바꾸는 풍조를 굉장히 싫어해. 그렇다면 현장의 것을 현장 그대로 인정해, 그대로 전달되게 하는 것으로「egg」이거나 「아웃포토」였습니다. 즉, 좋아하는 것은 좋아하는데로, 싫어하는 것은 싫어하는데로 좋다는 이야기.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자신은 이것을 이렇게 하고 싶다는 자신의 의사를 넣어 가면 자신의 개성이 나온다. 자신의 의사를 가진 발언이나 작품은, 성인이 그것을 이해 할 수 없어도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의지를 넣어가면, 확실히 하는 것이 좋게 보이지 않는 풍조가 있지만,『그것은 일본 뿐입니다』라고 말하고 싶다. 해외는 yes나no로 판단되고 모두 자기주장을 하기 때문에...
ab:일본의 독특한 풍조 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요네하라(米原):지금은、외국을 모르는 일본인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정책은, 미국이 제일 좋다고 생각해 주지 않으면 곤란한 것으로. 일본에서는 양키나 현지가 제일이라는 문화가 있지만, 그것은 매우 좋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생각한 것이 아니게 된다. 그 곳의 지역 가치관만 이야기 하기 때문에 굉장히 아쉽다. 지금 중국이나 한국이 이정도로 가까워 졌기 때문에 그것은 역으로 자신과 중국의 다른 점이나, 자신과 한국의 다른 점이라든지 알면、「나는 이런 풍의 일본인이다」라는 것을 알것이다. 그런데 지금의 정책이라면, 단지 「한국 대단해~」「KARA가 귀여워~」만이 되고 말았다. 그런 외관만의 가치로 멈추어 버리면, 역으로 그것을 배척하자는 것으로 될지도 모른다. 지금의 일본은 위험한 상황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확실히 스스로 생각해 나가야 된다고 생각한다.
처음으로 여성이 남자들의 사회 안에 들어가지 않아도 좋다고 선언한 것이 코갸루였다.

ab:오랜 세월 사진을 통해 여성을 쫓아 온 요네마사(米原)씨의 시점으로 일본의 여성은 어떻게 변해 왔습니까?
요네마사(米原):일본은 남자사회로 남자는 이렇게 있어야 된다는 것 같은 부분이 많이 있어, "18세가 되면 이렇게" "대학졸업하면 이렇게"라든지. 남자는 그 의식에 어떻게 들어갈까, 또는 거기에서 어떻게 피해 갈까라는 것을 항상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여성은 역으로 그것이 엷고, 이러면 안되는 부분은 다소 있지만 옛날처럼 「야마토나데시코(大和撫子:일본인 여성을 가련하고 섬세하나 마음이 강한 점을 패랭이꽃에 비유해 부르는 미칭)처럼 있어라」같은 것은 없다. 왜 제가 그것에 주목 했냐하면, 역으로 사회의 속박이 없는 분, 여성은 정말 자유다. 80년대의 서퍼붐(1990년에 들어가면, 서핑을 애호 하는 사람들(서퍼)이 청년의 선망의 대상이 되어, 태양과 바닷바람으로 자연스럽게 탄 서퍼의 머리카락을 흉내낸 언덕 서퍼가 증가한 것)이 있어, 물론 남자의 문화였지만, 거기에 온 여성들이 눈에 띄기 시작하고, 그대로 92년에 코갸루가 생겨나기 시작하지만 생각보다 솔직하게 남자사회에 대해 "별로 거기에 들어가지 않아도 됩니다" 와 같은 것을 말했던 처음의 여성들 이였다. 남자는 그런 것을 말하지 못하잖아 역시. 그래도 여성은 남자들의 사회 안에 들어가지 않아도 좋다고 선언한 것이 코갸루로, 그것이 멋있다고 생각했다.
요네마사(米原):일본은 남자사회로 남자는 이렇게 있어야 된다는 것 같은 부분이 많이 있어, "18세가 되면 이렇게" "대학졸업하면 이렇게"라든지. 남자는 그 의식에 어떻게 들어갈까, 또는 거기에서 어떻게 피해 갈까라는 것을 항상 생각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여성은 역으로 그것이 엷고, 이러면 안되는 부분은 다소 있지만 옛날처럼 「야마토나데시코(大和撫子:일본인 여성을 가련하고 섬세하나 마음이 강한 점을 패랭이꽃에 비유해 부르는 미칭)처럼 있어라」같은 것은 없다. 왜 제가 그것에 주목 했냐하면, 역으로 사회의 속박이 없는 분, 여성은 정말 자유다. 80년대의 서퍼붐(1990년에 들어가면, 서핑을 애호 하는 사람들(서퍼)이 청년의 선망의 대상이 되어, 태양과 바닷바람으로 자연스럽게 탄 서퍼의 머리카락을 흉내낸 언덕 서퍼가 증가한 것)이 있어, 물론 남자의 문화였지만, 거기에 온 여성들이 눈에 띄기 시작하고, 그대로 92년에 코갸루가 생겨나기 시작하지만 생각보다 솔직하게 남자사회에 대해 "별로 거기에 들어가지 않아도 됩니다" 와 같은 것을 말했던 처음의 여성들 이였다. 남자는 그런 것을 말하지 못하잖아 역시. 그래도 여성은 남자들의 사회 안에 들어가지 않아도 좋다고 선언한 것이 코갸루로, 그것이 멋있다고 생각했다.
코갸루의 뒤를 쫓은 것이 "우라하라주쿠(裏原宿)" 의 여성들로 우선 남성복을 여성 사이즈로 해서 입는다는 「mini」가 등장해, 그녀들의 섹시함을 더한 「smart girls」를 만들어, 제가 쫓고 있는 것은 항상 그런 남자사회에서 떨어진 여성들로, 그 이후가 109계(=시부야(渋谷)109:젊은 여성을 타겟으로한 패션건물)의 여성들. 그 당시,「거기에 남자는 전혀 들어오지 않아도 된다」같은 풍조가 생겼다. 그 무렵부터 제가 109브렌드로 카탈로그를 찍거나, 그쪽으로 달리는 이유로 지금은 그것이 독자 모델이거나 시대 선단의 여성들은 남자사회에서 어떻게 벗어날까 같은 부분으로 항상 형상을 바꾸어 온다.
ab:다음으로 주목하는 여성들은?
요네하라(米原):그것은 지금 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지금의 세상에는 돈을 쓰지 않는 여성들이 많고, 외모는 아무래도 좋습니다라고 말하는 젊은이들 굉장히 많습니다. 유니크로(ユニクロ)같은 싼 옷가게가있기 때문에 늘어 나고있다. 그러니까 그것은 성인이 어떤 장르인가 정해주는 역할이 아닐까. 그렇지만 반대로 나누어지는 것 자체 부정하고 있어일까.「가만히 놔 두어」보고 싶은 것이 증가하고 있는 생각이 들어.최근의 젊은 아이들은 「물건을 사지 않아요」라고 말하기 때문에.
ab:다음으로 주목하는 여성들은?
요네하라(米原):그것은 지금 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지금의 세상에는 돈을 쓰지 않는 여성들이 많고, 외모는 아무래도 좋습니다라고 말하는 젊은이들 굉장히 많습니다. 유니크로(ユニクロ)같은 싼 옷가게가있기 때문에 늘어 나고있다. 그러니까 그것은 성인이 어떤 장르인가 정해주는 역할이 아닐까. 그렇지만 반대로 나누어지는 것 자체 부정하고 있어일까.「가만히 놔 두어」보고 싶은 것이 증가하고 있는 생각이 들어.최근의 젊은 아이들은 「물건을 사지 않아요」라고 말하기 때문에.
쇼크였던 것은 멋쟁이나 예술관계의 사람이 아웃포토를 무시한 것.
ab:최근 몇년、여러 장소에서 개인전을 했다고 생각합니다만, 할려고 생각한 계기와 그 반응은?
요네하라(米原):「egg」만들었을 때도 그랬지만, 절대 해외에서 받아들여져 쭉 생각했다. 그래도「egg」때 까지는 상대방이 취재를 올 뿐이였지만,「아웃포토」라는 아마추어의 사진을 했을 때는, LOMO라는 빈(오스트리아의 수도)의 카메라 메이커의 마티아스라는 사장이 와서, 그의 권유로 빈에서 최초의「아웃포토 전」이라는 아마추어만의 사진을 모아 전람회를 했다. 나는 이점은 해외에서 인기를 얻을 자신이 있어, 외국인이 본적 없는 일본인의 표정이라든지, 외국인이 본적 없는 귀여운 여성들을 소개하면, 해외에서 인기를 얻을 것을 알았다. 아웃포토나 4만부 정도 팔렸기 때문에. 그래도 쇼크였던 것은 멋쟁이나 예술관계의 사람이 무시해. 그 후에 VICE나 같은 방법론의 외국 잡지가 많이 나오면, 지금까지 아웃포토를 무시한 사람들이「우와~」같은 느낌으로 들떴다. 내가 하고 있는 것은 해외에서는 좀더 큰 견해가 있어, 여성의 새로운 보는 방법이나, 패션의 새로운 보는 방법이라는 형태로 내가 노린데로 해석해 주었다.
요네하라(米原):「egg」만들었을 때도 그랬지만, 절대 해외에서 받아들여져 쭉 생각했다. 그래도「egg」때 까지는 상대방이 취재를 올 뿐이였지만,「아웃포토」라는 아마추어의 사진을 했을 때는, LOMO라는 빈(오스트리아의 수도)의 카메라 메이커의 마티아스라는 사장이 와서, 그의 권유로 빈에서 최초의「아웃포토 전」이라는 아마추어만의 사진을 모아 전람회를 했다. 나는 이점은 해외에서 인기를 얻을 자신이 있어, 외국인이 본적 없는 일본인의 표정이라든지, 외국인이 본적 없는 귀여운 여성들을 소개하면, 해외에서 인기를 얻을 것을 알았다. 아웃포토나 4만부 정도 팔렸기 때문에. 그래도 쇼크였던 것은 멋쟁이나 예술관계의 사람이 무시해. 그 후에 VICE나 같은 방법론의 외국 잡지가 많이 나오면, 지금까지 아웃포토를 무시한 사람들이「우와~」같은 느낌으로 들떴다. 내가 하고 있는 것은 해외에서는 좀더 큰 견해가 있어, 여성의 새로운 보는 방법이나, 패션의 새로운 보는 방법이라는 형태로 내가 노린데로 해석해 주었다.

일본에서는 새로운 타입의 에로 같은 부분만이 확대 해석되었지만, 해외에서 하면 그 여성관이나 패션의 보여주는 방법이라든지 새로웠다.